안구 건조증 치료방법
안구 건조증 치료방법
여름엔 에어컨, 겨울엔 난방으로 항상 건조한 사무실에 있다보면 안구 건조증이 굉장히 쉽게 옵니다. 저 같은 경우는 라식수술을 한 이후로 안구 건조증이 조금 더 심해졌는데, 수술 한지 반년 정도 지나니깐 그 정도가 굉장히 양호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시때때로 안구건조증을 피할 수는 없는데 그러다보니 인공눈물을 달고 살고 있습니다. 회사에 인공눈물을 아예 비치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안구 건조증을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1. 인공눈물 사용하기
안구 건조증 환자가 인공눈물을 사용하면 내성이 생긴다는 말이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제가 라식을 했던 안과도, 인공눈물을 처방받는 안과에서도 인공눈물은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은 우리가 세수 후에 로션을 발라주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튼 살에 로션을 발라서 살이 부드럽게 해줄 수 있듯이, 건조한 눈에 인공눈물로 수분을 공급해서 거친 눈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로션에 내성이 생기지 않듯이, 인공눈물 사용이 내성을 가져온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다만, 다회용 인공눈물의 경우 방부제를 포함하고 있으니, 인공눈물을 자주 사용해야하는 분들은 방부제가 들지 않은 일회용 인공눈물을 사용해주는게 좋습니다.
2. 안약 사용하기
인공눈물과 별도로 안구건조증이 심할 때는 안과에 가서 별도의 안약(점안액)을 처방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주로 처방 받는 약품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나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입니다. 이런 점안액은 사실 의사의 처방 없이도 구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급한 경우 약국에서 바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안구건조 정도가 심할 때는 사전에 의사와 상담을 해보는게 좋습니다. 안구건조에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그 원인에 맞는 안약을 처방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3. 안연고 처방받기
안연고는 보통 안약보다는 찐득한 제질인데 통상 항생물질이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구건조로 인해 눈꺼풀이 부었을 때는 안연고를 처방받는 경우가 많은데, 보편적으로 처방되는 안연고에는 테트라사이클린, 시프로플록사신, 클로람페니콜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일반 점안액보다 안구건조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인공눈물이나 점안액으로도 안구 건조증이 해결되지 않을 때, 안과에서 처방을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눈물길에 플러그 삽입술
인공눈물과 점안액 및 안연고로도 안구 건조증이 해결되지 않을 때는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눈물길에 플러그를 삽입하여 본인이 원래 갖고 있는 눈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해서 눈이 뻑뻑해지는 것을 막아줍니다. 이 삽입한 플러그에 눈물과 인공눈물이 저장이 되기 때문인데, 아무래도 눈에 직접적으로 수술을 하는 것이다보니 안구 건조증 정도가 굉장히 심할 때 시행되는 수술입니다. 만일 눈물길 플러그 삽입술 이후에도 안구 건조증이 해결되지 않으면 눈물길을 지지는 수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수술은 당연히 안과 전문의의 검진과 승인이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을 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인지 먼저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외국계 취업 & 채용 정보 > 외국계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 손님 선물 추천 및 구하기 (0) | 2019.08.07 |
---|---|
외국인 한국 관광 시켜주기 및 장소 추천 (0) | 2019.07.31 |
엑셀에 대하여 (0) | 2019.07.26 |
갑상선 비대증 증상 (0) | 2019.07.26 |
HR 인사담당자의 업무 및 현업 (0) | 2019.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