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 50개의 글

외국계 회사 망하면 한국지사 직원들은 어떻게 되나요?

Posted by 인담비
2020. 9. 14. 10:00 취업준비/취업 정보

외국계회사 한국지사 망하면 직원들는 어떻게 되나요?

예전부터 외국계회사 취준생들을 만나다보면 1년에 한 두번 정도 들어오는 질문 중에 하나가 외국계회사 취업했다가 한국지사가 망하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사실 저는 외국계회사 준비할 때 그런 생각을 해보지 못해서 처음 이 질문을 들었을 때는 굉장히 흥미롭다는 생각이 들었고 동시에 이런 걱정을 하는 분들도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반적인 한국회사와 다를게 없습니다. 만일 한국에 있는 어떤 회사가 망했다고 한다면 직원들을 정리하고 경영을 닫는 수순을 밟겠죠. 이와 마찬가지 입니다. 외국계기업도 한국에서는 한국 법을 적용받는 법인이기 때문에 법적인 절차를 밟아 한국지사를 정리할 수도 있습니다. 이 때 직원들은 권고사직을 받게 되는 것이지요.


외국계 회사 한국지사 망하면


그럼 이거 뭐 외국계회사는 언제 사업이 망할지 알 수도 없는데 괜히 들어갔다가 일자리만 잃게 되는거 아니냐는 생각을 하실 수 있는데, 제 생각에는 그렇지 않습니다.


외국계 기업이 한 나라에 법인을 설립할 때는 그 나라에서 충분한 수요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과 예측을 기반으로 이뤄지게 됩니다. 막연히 그 나라에서 장사가 잘 될 것 같아서라는 생각을 갖고 진출하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사업모델이나 전략이 바뀌거나 지사를 인수합병하는 등의 이유로 외국계회사의 한국지사가 문을 닫게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그러는 과정에서 일부 부서나 팀의 인력이 조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는 있습니다. 그런 경우 통상 권고사직을 받게 되는데, 보통은 회사에서 권고사직에 대한 보상을 해주기도 하고 대부분은 지금까지의 경력을 기반으로 이직을 하게 됩니다.


그럼 지금 나는 신입으로 외국계기업을 가려는데, 만일 입사 후 1년만에 회사가 문 닫을까봐 걱정이 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럴 가능성이 있는 회사는 지원하지 않는 것이 현명한 것입니다.




또한 단기적으로 일하게 되더라도 그 회사에서의 경력을 발판삼아 이직하기 유리한 회사로 처음부터 입사하는 것도 전략 중에 하나 입니다.


예전에 말한적 있는데 파견직, 계약직으로 입사를 하더라도 네임벨류가 있는 회사에 간다면 그 경력을 기반으로 다른 곳으로 이직하기가 수월합니다.


회사의 현재 상황이 어떤지는 지원하기에 앞서 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고, 인터넷에서 정보가 충분치 않았다면 인터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물어볼 수 있습니다. 가령, 회사나 팀에서 올해 중요시 생각하는 목표나 전략이 있는지, 내가 입사후 그 목표에 어떤 부분을 기여하기 기대하는지 등을 물어본다면 어느 정도 회사의 상황을 예상해볼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솔직하게 인터넷에서 정보를 많이 찾아보았으나 관련 정보가 많지 않아 찾기 어려웠는데, 한국지사는 계속해서 성장해가고 있는 추세인지를 물어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해당 외국계기업이 해외에 상장된 회사라면 주가 흐름을 살펴볼 수도 있고, 구글 등을 통해서 최근 뉴스를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한국지사가 페이스북이나 블로그 등을 운영하여 회사 소식을 업데이트 하는 곳이라면 그런 곳을 통해서 최근에 어떤 활동을 했는지 살펴보는 것도 회사의 상태를 예측해볼 수 있는 단서가 됩니다. 물론 국내 언론사를 통해 내보낸 뉴스가 있다면 가장 좋겠습니다.


이와 별개로 만일 해당 외국계기업에 노조가 있다면 한국지사가 본사의 지시에 따라 쉽제 인원을 감축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물론 인터뷰에서 회사에 노조가 있냐고 물어보는 것은 자칫 마이너스가 될 수 있으니 인터뷰에서 물어보면 안되고 사전에 정보를 알아볼 때 노조가 있는 회사인지 정도 찾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외국계 반도체 신입 HR Generalist 채용공고

Posted by 인담비
2020. 1. 12. 17:08 취업준비/채용 공고

한국씰마스타 HR Generalist 채용공고

외국계 반도체회사인 한국씰마스타에서 HR Generalist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경기도 김포에 위치해있어서 지리적으로 통근이 가능하신 분들 중에 HR 직무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반드시 김포가 아니더라도 서울, 김포, 인천, 일산 노선에 대해서 통근버스가 있기 때문에 통근버스 이용해서 출퇴근 가능한 분들이라면 모두 괜찮다고 합니다.

외국계HR

직무는 채용 및 교육과 관련된 업무에 대한 서포트이고, 사내 행사가 있을 때 그 행사 준비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SNS를 잘 다루는 사람을 우대한다는 점에서 채용이나 사내행사를 온라인으로 홍보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도 있겠다는 추측을 해볼 수 있습니다. 이 포지션에 관심 있는 분들은 한국씰마스타가 어떤 채널을 통해서 채용을 진행하고 인재를 모집하는지 사전에 알아보고 지원하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유관업무 경력자를 우대하긴 하지만 신입을 뽑는 다는 것은 경력이 없어도 잠재력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고려를 하겠다는 의미 입니다. 여기서 잠재력이란 HR 분야로의 대단한 능력을 요구한다기보다 팀원들과의 조화나 본인에게 주어진 업무를 성실하게 해낼 수 있는 부분 등을 의미합니다. 즉, HR과 관련된 직무 경험이 없더라도 다른 분야에서 인턴이나 아르바이트 했던 경험을 기반으로 어떻게 HR 업무를 잘 할 수 있는지 어필한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저도 채용을 진행하다보면 신입 자리의 경우 직접적인 업무 경험이 없어도,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의 내용들을 기반으로 지금 진행 중인 포지션에서 업무를 잘 해낼 수 있겠다는 판단이 들면 면접을 진행하는 사례들을 많이 봤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입이지만 경력을 선호한다고 해서 지원을 포기하지 마시고 설득력있는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준비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다만, 외국계 기업의 경우 일부 자기소개서를 받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는 이력서 앞에 Cover Letter를 추가하는 것으로 본인을 어필할 수 있습니다.

한국씰마스타는 한국에서 업력도 오래된 회사이고 반도체 제조업 회사이기 때문에 향후에 커리어를 반도체 회사와 제조업 분야 모두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직원 수도 약 800명 정도인데, 이 정도 규모이면 외국계에서는 큰 편이기 때문에 추후 이직을 할 때도 HR로서 얼마나 많은 인원을 서포트 했던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어필하기가 좋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과 지원 방법은 댓글의 주소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십니다.

마케팅(Marketing) 직무에 대하여

Posted by 인담비
2019. 12. 30. 21:47 취업준비/직무 소개

마케팅(Marketing) 직무에 대하여

마케팅은 정말 굉장히 광범위한 직무입니다. 회사가 속한 산업에 따라, 회사의 전략과 그에 따른 조직구조에 따라 마케팅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어떤 회사는 마케팅팀이 크게 있고 그 안에서 세부적으로 회사의 제품군에 따라 팀을 나누기도 하고, 어떤 회사는 제품군에 따라 나눠진 팀에 영업팀과 마케팅팀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자가 좀 더 보편적인 조직 형태이고, 이 경우 마케팅팀의 Head가 있고, 그 아래에 마케팅 A팀, B팀, C팀이 있는 구조입니다. 회사에 10개의 제품이 있다면, A팀은 1~4번을 담당하고, B팀은 5~7번을 담당하고, C팀은 8~10번을 담당하는 식의 구조입니다. 그래서 한 회사 안에서 똑같은 Digital Marketing 직무라고 할지라도 A팀, B팀, C팀의 업무가 조금씩 다를 수가 있습니다. 제품마다 특성이 다르고 그에 따른 전략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실 '마케팅 직무는 ㅇㅇㅇ를 합니다'라고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조금 어렵습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회사가 온라인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고, 그에 따라 마케팅 직무에서 빠질 수 없는 업무가 SNS 관리 입니다. 과거에는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세미나, 컨퍼런스 기획을 주로 했다면, 지금은 이러한 것들에 대한 홍보 또한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이에 따라 SNS를 운영했던 경험이 있다면 마케팅 직무에서 도움이 되는 것은 확실합니다.


물론 SNS는 마케팅팀 업무에 일부이긴 합니다. 앞서 언급한 세미나, 컨퍼런스, 박람회 등을 기획하고 준비하여 회사 제품을 홍보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는 보통 Vendor를 끼고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Vendor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필요합니다. 또한 이런 외부행사에 쓰이는 각종 컨텐츠를 만들 때 회사의 규정, 전략 등에 맡는 컨텐츠가 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센스와 안목도 중요합니다. 보통 이런 Materials도 Vendor사에서 제작을 해주긴 하지만 그 안에 들어가는 내용과 디자인 등에 대해서는 가이드를 줘야합니다.

이러한 모든 업무를 통해서 마케팅팀의 최종 목표는 매출 증대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외부행사나 온라인 홍보 등을 하고나면 그에 따르는 마케팅 효과에 대한 측정(혹은 때에 따라 추정)하는 업무를 하게 됩니다. 영업이익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각종 지표들을 통해 확인을 하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마케팅 업무는 무궁무진합니다. 마케팅 팀에서 하는 업무 중 외부에서 보이는 업무들을 요약하자면 위와 같은 것이고, 실질적으로 저런 결과들을 만들어 내기까지에 과정을 다 한다고 보면 됩니다. 

회사에 따라 영업마케팅이라고 하여 영업과 마케팅을 함께하는 경우도 있고, 직무는 마케팅이지만 실제 하는 역할은 영업지원과 비슷한 경우도 있습니다. 본인이 생각하고 기대하는 마케팅 직무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고, 채용공고와 면접을 통해서 본인의 기대에 부흥하는 직무인지 반드시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취업준비 > 직무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Technician, Specialist Helpdesk 업무  (1) 2019.09.17
TA & Recruiter 직무에 대하여  (0) 2019.09.12
품질관리 QA & QC 직무  (0) 2019.08.31
Field Engineer 직무에 대하여  (0) 2019.08.29
Sales Rep과 Sales Operations  (0) 2019.08.27

애매한 스펙으로 지원하는 팁

Posted by 인담비
2019. 12. 17. 09:00 취업준비/취업 정보

애매한 스펙으로 외국계 기업 지원하는 팁

오늘은 스펙이 조금 애매할 때 외국계 기업에 지원하는 팁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외국계 채용공고 사이트를 보다보면 Urgent라고 하여 급하게 사람을 뽑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의 몇 가지 예시 채용공고는 제가 댓글에 달아두겠습니다. 이런 포지션을 노리는 것입니다.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이 명확하고 그에 맞춰서 스펙을 쌓아오셨으며 영어(혹은 기타 외국어)가 잘 되시는 분들은 요즘 같은 불경기에도 외국계 기업에 취업할 기회가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제가 예전 글들에서 언급했듯이 외국계를 준비하는 분들 중에는 외국계 회사들이 학벌, 성적, 나이 등에 대해 상대적으로 유연하기 때문인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외국계 기업에 지원하는 분들이 워낙 고스펙자가 많습니다. 한국 기업의 수직적인 문화를 탈피하고 싶거나 워라밸을 중요시 하는 고스펙자들이 지원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만일 본인이 스펙이 조금 부족해서 외국계를 노리신다면 차라리 돌아가는 방법이 더 빠를 수 있습니다. 

외국계 신입

그런 측면에서 보면 Urgent하게 뽑는 자리 중에서도 파견직이거나 계약직은 경쟁률이 낮습니다. 가장 최고는 Urgent하면서 정규직을 뽑는 자리입니다만, 그게 아닌 차선책일 경우 경쟁률은 더 떨어지게 되는 것이지요. 이런 자리에 들어가서 관련 경력을 쌓으신 뒤 중고신입이 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특히 이런 자리는 지금 급하게 모집하고 있기 때문에 업무와 관련된 전공을 했거나, 유사한 업무 경험이 있거나, 빠르게 출근할 수 있거나 중에 1-2가지의 조건을 충족한 사람이 있으면 바로 채용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급하게 사람을 뽑는 신입 자리의 경우 우선 순위가 반드시 정해져 있고, 그 우선순위에 부합한다면 다른 조건들을 크게 따지지 않고 채용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렇게 들어가서 업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직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런 자리에 갈 때는 두 가지 조건은 따져보는 것이 좋습니다. 

1. 계약기간이 최소 1년은 되는지 또한 향후에 연장 가능성이 있는지 

계약기간이 6개월 미만인 곳을 갈 경우에는 본인이 인턴 경험도 없을 때는 괜찮지만 그렇지 않다면 최소한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곳이어야 향후 이직할 때 중고신입으로 들이밀어볼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계약기간이 2년인 것입니다. 

2. 회사가 네임벨류가 좋은지

파견직(혹은 계약직)으로 가는데 회사의 네임벨류가 떨어진다면 향후 이직할 때 도움이 될 가능성도 같이 떨어집니다. 향후 정규직으로 이직을 할 때는 기존 회사보다 좋은 회사로만 갈 수 있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구글에서 파견직으로 근무했던 사람은 파견직이지만 이직을 하면서도 구글에서 근무를 했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스펙이 됩니다. 하지만 잘 들어보지 못한 외국계 회사에서 일했다면 본인이 담당했던 업무가 무엇이었는지가 굉장히 중요해지는데, 이 때 만일 본인이 했던 업무가 굉장히 잡무에 속한다면 이직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잘 알려지지 않은 회사에서도 굵직한 일을 했다면 향후에 얼마든지 그 경험을 살릴 수 있지만, 5년 미만의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들 중에 굵직한 일을 할 수 있는 경우는 많지 않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는 것입니다.

위의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에만 가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파견직이나 계약직의 경우 정규직으로 전환되지 않았을 때 일자리를 잃는 것에 대한 리스크가 따르게 됩니다. 운이 좋으면 바로 취업이 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공백기간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물론 파견직과 계약직의 장점도 분명히 존재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회가 되면 설명 드리겠습니다. 아무조록 위 두 가지 조건은 최소한으로 파견직이나 계약직으로 커리어를 시작할 때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이기 때문에 어느 것 하나 놓치시지 않고 가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비즈니스 영어 이메일 유용한 표현법

Posted by 인담비
2019. 10. 10. 11:07 취업준비/취업 정보

비즈니스 영어 이메일 유용한 표현법

직장 생활을 처음 하는 분들 중에는 한국어로도 비즈니스 이메일 쓰는 걸 잘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드물긴 하지만 인턴이나 신입들의 이메일 중에는 마치 친구에게 메신저를 쓰는 듯한 느낌의 이메일이 종종 보입니다. 모국어로도 어떻게 쓰는지 잘 모르는 비즈니스 이메일을 영어로 쓰려고 하면 더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취업은 했지만 막상 영어로 이메일을 쓰려니 막막한 분들을 위해 유용한 몇가지 표현법들을 가져왔습니다.


1. 이메일의 시작 'Dear ㅇㅇㅇ', 'Hi ㅇㅇㅇ'

이메일 시작을 Dear Mr.ㅇㅇㅇ/Mrs.ㅇㅇㅇ/Ms.ㅇㅇㅇ 등으로 시작하는 경우 있는데, 실제로 본 경우는 굉장히 드뭅니다. 극 존칭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럴 때는 상대방의 성(Last Name)을 확실히 알아야하고, 여성의 경우 기혼자인지 미혼자인지도 알아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서 실 상황에서는 잘 안쓰입니다. 보통은 Dear First Name, 으로 시작하거나, Hi First Name, 으로 시작합니다. 처음 이메일을 쓰는 사람에겐 Dear를 쓰는게 좀 더 낫고, 자연스러움 측면에서는 Hi를 쓰는게 더 좋습니다. 다만 한국인들끼리는 주로 Dear을 많이 쓰는 편입니다.


2. 처음 시작 인사

보통 인사는 Good morning, Good afternoon 정도가 가장 기본이지만, 서로 시차가 있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이메일 상에서는 잘 쓰지는 않습니다. 적당히 Good day 정도가 있을 수 있고, 아니면 처음 인사하는 사람에게는 본인의 소개를 간단히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Good day! This is Regina based in South Korea' 이런 식으로 말이죠. 혹은 그냥 'Hope you are doing well' 등과 같은 안부 형식의 말을 한 줄 정도 넣고 본론으로 들어가기도 합니다. 


3. 부탁을 할 때 'Could you~', 'Would you~'

이메일은 보통 누군가에게 부탁을 하거나 요청을 할 때 많이 씁니다. 그렇다보니 정말 자주 쓰는 표현 중에 하나가 'Could you~' 'Can you~' 'Would you be able to~' 등과 같은 표현입니다. 자연스러운 것은 'Can you~'이고, 나머지는 조금 더 약간 정중한 듯한 어감이 있습니다만 사실상 큰 차이가 있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상대방에게 어떤 Data를 확인해달라고 할 때 'Can/Could you kindly check the data?' 혹은 'Would you be able to check the data?' 등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4. 마무리

이메일을 끝마칠 때는 마지막에 'Thanks' 'Thank you' 등과 같은 말을 많이 씁니다. 그리고 'Regards', 'Best Regards', 'Warm Regards', 'Kind Regards' 'Best Wishes' 등과 같은 표현을 덧붙이고 본인의 서명을 보냅니다. 


5. 예시

앞서 설명 드린 내용을 기반으로 하나의 이메일을 샘플로 만들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시는 Monica Park이 Mike Mullen에게 보내는 이메일 입니다.

Dear Mike,

Hope you are doing well. Could you kindly send the data you shared with the team during yesterday meeting?


Thank you

Kind Regards,

Monica Park



한국 P&G 신입사원

Posted by 인담비
2019. 9. 27. 15:28 취업준비/채용 공고

한국 P&G 신입사원 - 영업직

한국 P&G (Procter & Gamble)에서 영업직 신입사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P&G는 많이들 아시는 바와 같이 팬틴, 헤드앤숄더, 오랄비 등과 같이 다양한 생활용품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회사입니다. 1973년도에 미국에서 설립되어 175년이라는 연혁을 갖고 있습니다. 

진행 중인 채용은 2019 Sales Manager 신입사원 공개채용으로써, 신입사원으로 입사 후 추후 리더로 성장하는 코스를 밟게 되는 채용건입니다. P&G는 신입과 경력을 채용하는 방식이 다른데, 신입의 경우 향후 P&G내에서 리더로 성장할 사람을 뽑고 경력은 주로 본인의 분야의 특화된 Specialist를 뽑는 방식으로 진행 됩니다. 지금과 같이 신입사원 공개채용은 입사 후 커리어 트랙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그런 만큼 처우도 좋고, 조직 내에서 기회를 많이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P&G의 경우 신입사원 공개채용이 자주 있지 않아서 한 번 진행할 때 그 경쟁이 어마어마 합니다. 내로라 하는 스펙을 가진 지원자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력서와 커버레터를 정말 탄탄하게 준비하시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참고로 P&G의 경우 국문 이력서를 제출하실 필요는 없고, 영문 이력서와 커버레터만 제출하시면 됩니다. 


Sales Manager 포지션의 경우 팀장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의미라기보다, Sales Manager가 되기 위한 Course라고 생각하시는게 더 적합할 것 같습니다. 신입사원을 선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팀장으로서의 역할이 주어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주어지는 직무와 관련하여서 JD를 자세히 보면, 사업계획 개발, 판매, 수행, 평가하는 역할이며, 여러 팀과 협력하여 전략과 계획을 수립하고, 나아가 주요 고객들과의 생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등의 역할을 해내게 됩니다.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겠지만, 성공적인 영업을 위해 주어진 자료를 분석하고, 현 상황에 주어진 도전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는 역량이 많이 필요해보입니다. 그래서 Resume에도 이와 같은 내용을 강조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업현황이나 세일즈 실적 보고서를 작성해봤던 경험이나 보고서 내용을 기반으로 아이디어를 제안했던 경험 등이 있다면 반드시 Cover Letter 및 Resume에 강조하시기 바랍니다. 

지원 자격은 4년제 대학 졸업자로서 전공은 큰 상관이 없고, E-commerce와 관련된 직무 경험이 있는 것을 선호합니다. 강력한 리더십, 비판적인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등과 같이 개인의 역량에 대한 부분도 중요하게 봅니다.

보다 자세한 채용 공고는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도록 댓글에 남겨 드리겠습니다.